1.0.1: – 알림상의 앱 이름을 exe 파일명이 아닌 “카카오스토리 웹 알리미”로 변경 – 업데이트 안내 문구를 한국어로 변경 – 알림이 올 때, 기존에 표시된 알림 중 같은 게시글의 알림이 있는 경우 해당 알림을 지우는 기능 추가 – 알림 내용이 “내용 없음”일 경우, 그냥 해당 내용을 보여주지 않게끔 수정
1.0.2: 시스템 재시작 이후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오류 로그를 대량으로 기록하는 오류 수정 로그인 전용 브라우저 로직과 관련된 오류 수정
1.0.3 / 1.0.4: 시스템 재시작 이후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오류 로그를 대량으로 기록하는 오류 수정
변경 내역: 1.0.0: 최초 릴리즈 / CPU 사용량 조회 및 그래프 조회 기능 제작 2.0.0: GPU/메모리/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 추가 2.0.1: GPU 사용량이 올바르지 않게 표시되는 오류 수정 및 컨텍스트 메뉴에 버전,저자 정보 추가 2.0.2: Intel GPU 버그 수정 및 타이머 멈추는 오류 수정 2.0.3: – 타이머 버그 수정 및 예외 핸들링 – UI 수정 – 팝업 창 위치를 고정된 위치로 설정 – 기타 코드상의 수정 2.0.4: 이전에 관찰된 5개의 사용량 값을 캐싱하여 갑작스러운 사용량 급증 방지 2.0.5: – CPU 및 GPU 사용량 정확도 개선 – 아이콘 갱신 안되는 버그 수정| 2.0.6: 프로그램 실행 이후 몇 분이 지나면 GDI+ 핸들의 누수로 인해 강제 종료 되는 오류 수정
2.0.7: 관리자 모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음과 같은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U 온도 및 전력 사용량
GPU 전력 사용량
배터리 잔량 및 충전 및 방전 속도
배터리 수명 상태(퍼센트)
시작 프로그램 등록과 관련된 몇 가지 버그 수정
2.0.9: 시작 프로세스 버그 수정 배터리 충전률 정보 텍스트의 오타 수정
2.1.0: 오타 수정 (BatteryHealth -> Battery Health) (실험적) 윈도우 10 지원
2.1.1: 업데이트 확인 기능 추가
2.1.2: 어두운 테마 기기를 위해 아이콘과 텍스트를 검은색으로 표시하는 기능 추가 (Reflection님이 구현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작업 표시줄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정렬한 사용자의 리포트 창 위치가 잘못 표시되던 버그를 수정
2.1.3: 가상 메모리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추가 초당 스토리지 읽기/쓰기 속도를 표시하는 기능 추가 정보량 증가에 따른 리포트 창 크기 증가 리포트 창 초기 로딩 시간 및 타이머 정확도 개선
2.1.4: 처음 실행 시 시스템 테마 설정에 따라 아이콘 테마 색상 자동 설정
2.1.5: 코드베이스 리팩토링 기능: 전용 모니터링 디스플레이를 위한 H/W 모니터
2.1.6: 모니터 감지 관련 버그 수정 (H/W 모니터)
2.1.7: 사소한 UI 수정
2.1.8: 기능: 이제 팝업 창/하드웨어 모니터 창에 배경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2.1.9: 기능: 컨텍스트 메뉴의 메뉴를 통해 하드웨어 목록을 새로 고칠 수 있습니다. 오타 수정 코드베이스 리팩토링
2.2.0: 버그 수정: 모니터 인식과 관련된 문제 해결 버그 수정: 키보드 단축키를 통해 다른 모니터로 이동할 때 H/W 모니터 창이 전체 화면 모드가 아닐 수 있는 버그 수정
2.2.1: 설치 관리자 지원 하드웨어 수동 새로 고침 성능 개선 .NET 8 업데이트 및 WinUI 버전 업그레이드 기능: 시작 시 자동 시작 바이너리 위치를 확인하고 손상된 경우 잘못된 경로를 수정
Windows+R 단축키를 눌러 뜨는 창에 %LOCALAPPDATA%를 입력, 뜨는 폴더에 terminal 폴더를 생성합니다. 이후 생성된 폴더에 위의 아이콘 파일인 wt_32.ico 파일을 넣어줍니다.
이후, terminal 폴더에서 탐색기 주소창 오른쪽의 빈 공간을 클릭하여 경로를 복사해줍니다. 예시) C:\Users\kck41\AppData\Local\terminal
그 다음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생성한 WT키에 Icon이라는 문자열 값을 생성합니다. 값은 위에서 복사한 폴더의 경로를 설정 마지막에 \ 문자를 추가하여 wt_32.ico 파일을 지정해줍니다. 예시) C:\Users\kck41\AppData\Local\terminal\wt_32.ico
WT 키의 (Default) 값은 우클릭 메뉴에서 보여질 옵션 제목을 적어주세요. 예시) Open Windows Terminal
WT 하위 키의 command 키의 (Default)값을 설정하기 위해 Windows + R키룰 눌러 %LOCALAPPDATA%를 입력합니다. 입력하여 나오는 창에서 Microsoft폴더를 들어가 WindowsApps폴더에 들어갑니다.
방금전과 마찬가지로 탐색기의 주소창 우측 빈공간을 선택하고 경로를 복사합니다.
WT하위 키의 command 키의 (Default)값을 더블클릭하여 방금전의 경로를 붙여넣고 마지막에 \wt.exe -d “%V”를 지정합니다. 예시) C:\Users\kck41\AppData\Local\Microsoft\WindowsApps\wt.exe -d “%V”
이제 파일 탐색기를 열어 아무 폴더에서나 레지스트리를 통해 추가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Windows Terminal 앱의 기본 쉘을 Ubuntu로 설정하였을 때, 쉘에 디렉토리를 전달하여 터미널을 통해 열 때 유용합니다.
XPS 9560, 9360, 9550의 경우 ThrottleStop을 사용해도 BIOS에서 SST가 활성화되지 않아 간혹 절전모드의 해제등의 이유로 SST 설정이 고정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TurboBoost가 활성화 돼있어도 클럭이 올라가지 않아 베이스클럭 이상으로 나오지 않습니다.
이는 CPU가 SST를 지원하나 BIOS가 아닌 ThrottleStop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활성화 시킨 이후로 ThrottleStop의 버그로 인해 SST설정이 풀리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SST설정을 BIOS에서 활성화시키면 해당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BIOS에서 SST설정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아래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