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스토리 매니저에 쓰인 카카오 스토리와 통신할 때 쓰던 코드를 정리하여 API로 공개하였습니다.
시간나면 좀 더 사용하기 편하게 개선할 예정입니다.
참고 소스 : https://github.com/nihui/dain-ncnn-vulkan
클릭 한번으로 영상의 프레임을 늘려주는 프로그램입니다. DAIN을 사용하였으며, 성능은 아래의 영상을 확인해주세요.
※ GPU를 사용하나, 프레임 보간이 매우 오래걸립니다. 이 점 참고해주세요.※ 현재로써는 실행 파일 경로와 변환 파일 경로에 특수문자나 한글이 있으면 안됩니다 (1.2.0 업데이트로 해결됨)
변경 내역 :
* 1.0.0 : 최초 공개
* 1.1.0 : 프레임 보간 작업에 대한 프로그래스바 추가
* 1.2.0 : 프로그래스바 오류 수정 및 특정 상황에서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오류 수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탐색기에서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는 경우의 우클릭 메뉴에 Instant Clipboard Save라는 메뉴가 생깁니다.
(프로그램 실행 이후 따로 뜨는 창은 없습니다)
클릭시 클립보드의 이미지(.png 파일) 또는 텍스트(.txt 파일)파일을 해당 폴더에 저장합니다.
프로그램 위치가 옮겨지는 경우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해주세요.
프로그램 삭제시 탐색기 우클릭 메뉴에 남아있는 메뉴를 삭제하고싶으시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어 아래 적혀진 위치의 키 및 하위 항목을 지워주세요.
Computer\HKEY_CURRENT_USER\SOFTWARE\Classes\Directory\Background\shell\Instant Clipboard Save
변경 로그:
1.0.0 : 최초 배포
1.1.0 : 메모리 누수 현상 해결
1.2.0 :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 권한 요청
인터넷에 비슷한 걸 찾아봐도 사운드를 못바꾸거나 바꿀수 있으면 하자가 있는게 많아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프로그램 종료를 원하시는경우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을 우클릭하고 종료를 눌러주세요.
간혹 크롬에서 다운로드 시 다운로드가 막힙니다. 이 경우 다른 브라우저로 받아주세요
config.ini 파일 내용 설명 :
프로그램 변경 내역 :
2.1.2 :
2.1.1 :
2.0.1 :
2.0.0 :
1.8.0:
1.6.0 :
1.5.0 :
참고한 소스 : https://github.com/SD810/KaTalkEspresso
카카오톡 PC버전엔 광고가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카카오톡의 PC버전의 광고를 제거하고 이후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프로그램 창 크기 조절등의 이유로 다시 생기는 광고를 제거해줍니다.
※ 이 프로그램은 우측 하단의 팝업 광고는 지워주지 않습니다.
패치 노트 :
1.0.1 :
1.0.0 :
카카오스토리 매니저란 카카오스토리의 웹버전에서 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기능을 프로그램으로 제작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게시글에 올라온 버전은 카카오스토리 매니저의 알림 및 자동 시작 기능을 제거해 윈도우 7, 윈도우 8(.1)에서도 사용 가능하게끔 만든 버전입니다.
실행파일은 KSP-WPF.exe입니다.
1.2.30:
1.2.27:
1.2.26:
1.2.25:
1.2.24:
1.2.22:
1.2.21:
1.2.20:
1.2.19:
1.2.18:
1.2.17 :
1.2.16 :
1.2.15 :
1.2.14 :
1.2.13 :
1.2.12 :
1.2.11 :
1.2.10 :
1.2.9 :
1.2.8 :
1.2.7 :
1.2.6 :
1.2.5 :
1.2.4 :
1.2.3 :
1.2.2 :
1.2.1 :
1.1.5 :
1.1.4 :
1.1.3 :
얼굴 이미지를 좌우대칭 하는 것을 목적을 두고 만든 프로그램이다.
UI는 위와 같으며 슬라이더를 통해 기준점을 변경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 기준 설정이 가능한 체크박스가 있다.
저장 버튼을 누르면 원본크기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Ctrl+C로 클립보드에 복사가 가능하며 Ctrl+V로 클립보드에 좌우대칭 이미지를 복사할 수 있다.
다운로드 : 1.0.0
파일 이름을 일괄적으로 바꿀 때 편리한 방법으로 바꿀 수 있게끔 제작한 프로그램이다.
Add Case를 체크하면 바꿀 파일명의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파일명 명명 규칙은 저장 및 불러오기가 가능하다.
트리거는 더블클릭하면 수정또한 가능하다.
파일 탐색기에서 “보내기” 메뉴를 통해 여러 파일 및 폴더의 이름을 바로 바꿀 수도 있다.
스크린샷 :
윈도우 10에는 가상 데스크탑이라는 기능이 존재한다.
필자는 이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쓰는데, 모든 데스크탑의 스크린샷이 필요한 경우가 간혹 있다.
기존에는 이를 위해 gimp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이어붙였는데 이를 자동화시킨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되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보이는 버튼을 누르면 모든 데스크탑을 즉시 이동하여 스크린샷을 찍은 뒤 클립보드에 이미지를 저장한다.
사용 예시 :
다운로드 : 1.0.0
보통의 Windows 메신저 프로그램 또는 SNS 사이트는 클립보드의 이미지를 붙여넣어 사진을 바로 업로드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사이트(카카오스토리 댓글창 등)는 이를 지원하지 않아 매번 클립보드의 이미지를 그림판으로 붙여넣어 직접 저장해야합니다.
하지만 이는 번거롭습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할만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 부팅시 자동실행을 감안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바로 트레이로 최소화됩니다. 따라서 트레이의 아이콘들 더블클릭해야만 이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옵션을 선택하면 클립보드에 이미지가 들어올 때 마다 날짜가 적힌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며, 비활성화 시 clipboard.jpg라는 파일에 항상 덮어 씌웁니다.
두번째 옵션은 시작 프로그램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변경내역-
1.0.0 :
1.0.1 :
1.0.2 :
1.0.3 :
1.0.3.3 :
1.0.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