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가지고 있는 XPS13 9360의 경우 전원 어댑터를 제거한 뒤 또는 제거한 이후로 로드가 일정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 0.9Ghz로 몇초간 고정이 되는 현상이 발견됐었습니다.
이는 파워 쓰로틀링이라는 현상이며, 대다수 저전력 프로세서 노트북에서 발생하는 문제기도 합니다.
코딩 목적으로 노트북을 사용하는 만큼 상당히 거슬리는 문제였고, 이래저래 해결법을 알아보고 현재는 정상적으로 사용중입니다.
다수의 울트라북 유저가 겪는 현상인 만큼, 이 현상에 대한 해결법을 공유합니다.
보통 이 절차를 통해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이 해결법을 적용함으로써 생기는 문제는 본인이 책임지길 바랍니다.
1. ThrottleStop 실행하기
이 유틸리티를 보통은 실행하기만 해도 해당 현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다운로드는 여기를 눌러주세요.
미리 값을 설정해놓았으니 받고 실행만 하면 됩니다.
다만, 이 프로그램은 실행시 관리자 권한을 필요로 하며 재부팅 이후 자동 실행 옵션이 없는게 단점입니다.
컴퓨터 시작과 동시에 실행을 원하는 경우 아래 부록을 확인해주세요.
2. DPTF 드라이버 제거하기 (1번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는경우)
간혹 DPTF 드라이버 버전에 따라 ThrottleStop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NoDPTF-master.zip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레지스트리 적용을 한 뒤
장치 관리자(윈도우키+R을 누르고 devmgmt.msc 입력후 엔터)를 열어
Intel ® Dynamic Platform and Thermal 으로 시작하는 모든 항목 및 시스템 장치에서도 해당 이름을 포함한 드라이버를 우클릭하여 드라이버를 삭제하면 됩니다.
이 때, 삭제 다이얼로그에 체크박스가 있는경우 무조건 체크해줘야 됩니다.
이후 재부팅하여 1번 방법을 적용하면 됩니다.
(부록) ThrottleStop을 윈도우 시작시 자동실행되게 설정하기
ThrottleStop은 윈도우 시작시 자동으로 실행을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시작프로그램으로 지정하기위한 방법을 적어봅니다.
이 작업을 위해 작업 스케줄러가 필요한데, 작업 스케줄러는 윈도우키+R을 눌러 뜨는 창에 taskschd.msc 를 입력후 엔터를 누르면 열립니다.
절차 :
- 작업 스케줄러를 열고 좌측의 “작업 스케줄러 라이브러리”를 클릭한뒤, 우측의 작업 만들기를 누릅니다.
- 해당 메뉴를 눌러 뜨는 창에서 “사용자의 로그온 여부에 관계 없이 실행”을 체크한 뒤, 또한 “가장 높은수준의 권한으로 실행” 체크박스를 꼭 체크합니다.
- 구성 대상은 Windows 10으로 변경하는게 좋습니다.
- 상단 “트리거” 메뉴를 누른 뒤 아래의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른 뒤, 버튼을 눌러 나타나는 창에서 “작업 시작” 항목을 “로그온할 때”로 변경 뒤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 창이 닫히면 상단의 기존 창의 “동작”메뉴를 누릅니다.
- 아까와 마찬가지로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릅니다.
- 새로 뜨는 창에서 “동작”은 “프로그램 시작”으로 둔 뒤,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 ThrottleStop.exe를 지정한 뒤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 상단 “조건”메뉴를 눌러 “컴퓨터의 AC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만 작업 시작” 체크박스를 체크 해제합니다.
- 이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작업 스케줄러에 ThrottleStop이 자동으로 시작되는 작업이 추가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후 ThrottleStop을 제거한다면 작업 스케줄러에서도 이 작업을 지워주면 됩니다.(우클릭후 삭제메뉴 누르기)
파워 쓰로틀링 현상 해결법에 대해 적어봤습니다.
이 해결법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다.
변경 사항 :
- 2019/05/29 : ThrottleStop.ini 수정
[…] 이동하기 […]
Wenas tardes zoi nueva 🛐ªªªª